25.01.28 (화)

2025. 1. 28. 23:29·내배캠/TIL
플랫폼이 랜덤하게 생성되는 로직을 짜면서 플랫폼의 리스트를 Data Asset을 활용하여, 에디터에서 새로운 플랫폼을 만든다면 Data Asset에 등록시켜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월드에 배치되게끔 설계를 해봤었다.

그런데 아이템 클래스를 만드는 강의를 들으면서 추가적으로 Data Table에 대해 알게 되었다. 
Data Asset과 Data Table 둘 다 게임 내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알겠는데 왜 이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었는지 궁금해졌고 이 둘의 차이를 살펴보고 정리해봤다.

 

 

https://dong-grae.tistory.com/138

 

데이터 에셋과 데이터 테이블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다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아이템 정보, 적의 능력치, 맵 데이터 등 게임 곳곳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작업이 필요하다.이때 언리얼

dong-grae.tistory.com

 

'내배캠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04 (화)  (0) 2025.02.04
25.01.31 (금)  (0) 2025.01.31
25.01.27 (월)  (0) 2025.01.27
25.01.23 (목)  (1) 2025.01.23
25.01.22 (수)  (0) 2025.01.22
'내배캠/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02.04 (화)
  • 25.01.31 (금)
  • 25.01.27 (월)
  • 25.01.23 (목)
동그래님
동그래님
  • 동그래님
    개발자 동그래
    동그래님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0)
      • 공부 (51)
        • Code Cata (50)
      • 내배캠 (151)
        • TIL (50)
        • C++ (37)
        • Unreal Engine (48)
        • GAS(Gameplay Ability System.. (16)
      • Project (7)
        • Gunfire Paragon (5)
        • Arena Fighters (1)
  • 블로그 메뉴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동그래님
    25.01.28 (화)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